력사학부의 기본사명은 우리 나라에서 력사교육과 력사학연구의 기본거점으로서 백두산절세위인들의 혁명력사와 조선력사, 세계력사, 고고학, 민속학부문의 전문가들을 육성하는것이다.
력사학부는 주체38(1949)년 력사문학부에서 분리되여 설립되였다.
력사학부는 10개의 강좌(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혁명력사강좌,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혁명력사강좌, 경애하는 김정은동지혁명력사강좌, 항일의 녀성영웅 김정숙동지혁명력사강좌, 조선사강좌, 고고학강좌, 민속학강좌, 외국사강좌, 종교강좌, …)와 2개의 연구실(보존정보연구실, 인류진화발전사연구실)을 가지고있다.
학과로는 혁명력사학과, 조선사학과, 외국사학과가 있다.
![조선력사 조선력사]()
![고고학 고고학]()
대표적인 과목들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혁명력사》,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혁명력사》, 《경애하는 김정은동지혁명력사》, 《항일의 녀성영웅 김정숙동지혁명력사》, 《조선력사》, 《조선민속학》, 《조선대외관계사》, 《조선고고학》, 《조선신분제도사》, 《조선토지제도사》, 《조선주택사》, 《외국사》 등이다.
력사학부에서는 후보원사 1명, 박사 40여명을 비롯한 110여명의 교원, 연구사들이 사업하고있다. 그중 교수, 부교수의 학직을 소유한 교원은 50여명이다.
700여명의 학생들이 공부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