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변경기술은 가물방지, 물자원확보, 자연생태환경보호 등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들중의 하나로 되고있다. 오늘날 많은 나라와 지역들에서 여러가지 형태의 일기변경활동들이 진행되고있다.
력사적으로 일기변경활동은 물에 대한 수요가 제기되는 가물기간에 활성화되였으며 이것은 가물지역에서 가물을 어느 정도 방지하는데 기여하였다.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에서 과거 일기변경활동에 대하여 고찰하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일기변경활동은 첫단계 1960-1970년, 두번째 단계 1980-1990년, 세번째 단계 2017-현재로 구분할수 있다.
첫단계에서 일기변경리론을 적용하는데서 과학적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구름살포실험자료와 일부 기술들이 축적되였다. 두번째 단계에서 구름살포실험들은 거의 진행되지 않았지만 전국적인 규모에서 구름과 물자원조사들을 포함하여 일련의 조사연구들이 진행되였다. 세번째 단계에서는 2017-현재까지 우리 나라에서 새로 개발된 82mm로케트와 1014-1015g-1의 핵발생률을 가진 요드화은강우제를 리용하여 7차의 구름살포실험이 진행되였다. 실험결과분석에 의하면 1차실험을 제외한 기타 구름살포실험들에서는 지면에서 강수증가의 명백한 효과를 보여주었다(9.1%).
이 연구결과들은 잡지《Russian Meteorology and Hydrology》에 《An Overview of Cloud Seeding Experiments for Precipitation Enhancement over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ir Future Prospects》(https://doi.org/10.3103/S1068373923080083)의 제목으로 발표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