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연구

지식경제수준에 대한 통계적평가의 몇가지 문제

 2025.10.7.

현시기 지식경제를 건설하는데서 나서는 중요한 문제의 하나는 현재의 지식경제수준을 평가하고 경제의 지식화수준을 높이기 위한 경제기술적대책을 세워나가는것이다.

우리는 세계적범위에서 지식경제의 개념과 그의 평가에 대한 선행연구성과를 개괄하고 그의 제한성을 해명한 다음 지식경제의 표현형태를 세가지로 론증하고 그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체계, 평가방법을 해결하였다.

우리가 리론적으로 해명한 지식경제의 표현형태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지식경제는 산업구조에서 지식집약형산업이 주요부문으로 되고있다는것이며 둘째로, 지식자원이 생산을 추동하는 주요자원으로 등장하고있다는것이며 셋째로, 지적제품이 사회생산물의 주요구성부분으로 되고있다는것이며 넷째로, 지식의 창조와 응용에 들어가는 지출이 사회경제적지출의 압도적비중을 차지하고있다는것이다.

이로부터 지식경제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통계지표는 연구개발비지출, 발명 및 합리화안의 장성률, 발명 및 특허신청장성률, 경제장성에 대한 과학기술의 기여률, 경제구조에서 지식집약형산업의 비중과 같은 지표로 될수 있다.

지식경제수준은 이러한 지표들에 기초하여 계층분석방법과 쌍비교판단법, 여러가지 자료변환법을 비롯한 경제수학적방법을 적용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할수 있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잡지 《Journal of the Knowledge Economy》에 《Some Problems in Statistically Assessing the Level of Knowledge Economy》(https://doi.org/10.1007/s13132-017-0510-0)의 제목으로 출판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