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연구

금속양이온빈자리결함형성에 의한 무기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재료 CsPbI3의 상안정화에 대한 연구

 2023.11.7.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교시하시였다.

《새 재료부문을 발전시키지 않고서는 전자공업을 주체적으로 발전시킬수 없고 기계공업의 현대화를 실현할수 없으며 최신과학기술을 전반적으로 발전시킬수 없습니다.》 (김정일전집》 제48권 522페지)

우리는 제1원리결함열력학방법을 리용하여 금속양이온빈자리결함형성에 의한 무기페로브스카이트태양전지재료 CsPbI3의 Ii상안정화물림새를 해명하고 I-풍부조건의 조성과 환원성계면활성제의 사용을 통한 립방상안정성개선방도를 제기하였다.

습기와 열견딜성이 약한 유기-무기혼성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재료의 결함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에서 금지띠너비가 1.73eV인 립방페로브스카이트형(α) CsPbI3이 주목되고있다. 그런데 이 재료의 α상은 방온도에서 다른 상 δ으로 쉽게 변환되며 따라서 α상을 낮은 온도에서 안정화하는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제기된 방법들을 보면 Br-, Cl-를 CsPbI3에 삽입하는 방법과 전구체에 HI를 첨가하는 방법, 결정의 크기와 차원수를 줄이는 방법, 음이온을 치환하는 방법 등을 들수 있다. 제1원리전에네르기계산을 통하여 α상의 내부에네르기가 δ상보다 17KJ/mol 더 크다는것이 밝혀졌다.

우리는 할로겐페르브스카이트재료에서 기본결함들인 빈자리결함들(VCs, VPb, VI)을 형성시키고 평면파절단반경 400eV와 2×2×2의 k점그물로 구조완화와 전에네르기계산을 진행하였다. 두가지 상들에 대하여 각각 19.5, 12.4의 정적유전상수들을 얻어내고 유한크기효과를 보정하였으며 Pb-5d심준위를 리용하여 결함형성에 의한 정전기포텐샬밀림을 계산하였다. 띠점유효과보정은 얕은 준위를 형성시키는 VI0, VCs0, VPb0, VPb-1결함상태들에 대하여 진행하였다.

그림 1에서 α, δ상들의 최량화된 단위포구조를 보여주었다. 저온에서 α상불안정성의 원인으로 되는 두 상의 구조단위당 전에네르기차이는 0.23eV이다.

CsPbI3으로부터 CsI와 PbI2에로의 분해에네르기는 각각 -0.04eV, 0.19eV이며 이것을 통해서도 0K에서 δ상이 보다 안정하다는것을 알수 있다.

최적화된 단위포구조
그림 1. (ㄱ)α상과 (ㄴ)δ상의 최적화된 단위포구조

α상과 δ상의 최적화된 단위포를 가지고 각각 3×3×3, 2×3×1의 초세포를 구성하고 각이한 전하상태를 가지는 빈자리결함들을 형성시키였다.

다음으로 빈자리형성에 의한 α상의 안정화에네르기를 계산하였다.

그림 2에서 각이한 결함 한개가 형성될 때의 안정화에네르기를 보여주었다.

각이한 결함종류들의 안정화에네르기
그림 2. 각이한 결함종류들의 안정화에네르기

그림 2에서 볼수 있는것처럼 중성 및 대전된 종류의 결함들은 모두 α상안정화에 기여한다. 기본결함상태들가운데서 VPb-2의 결함당 안정화에네르기는 -2.34eV이고 VCs-는 -0.87eV, VI+는 -0.31eV이다. VPb-, VPb0, VCs0, VCs+, VI-, VI0결함상태들은 각각 -1.62, -1.19, -0.46, -0.29, -2.15, -1.10eV의 안정성개선을 가져온다. α상에 대하여 우의 상태들은 페르미에네르기가 금지띠사이에서 변할 때 안정한 구간이 매우 작다. 하지만 이 상태들은 δ→α상변환시 안정한 상태들사이의 이행을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할수 있는데 실례로 VPb0(δ)→VPb0(α)→VPb-2(α)의 변환을 생각할수 있다. 결함형성이 α상안정화에 미치는 전체적인 효과는 결함당 안정화에네르기에 결함농도를 곱하여 얻는다.

결함형성이 α상안정화에 미치는 전체적인 효과

금속양이온빈자리의 형성은 Cs와 PbI6-8면체사이의 호상작용을 약화시키고 δ상에 비한 α상의 상대적안정성을 높여준다. I-풍부조건은 Cs+, Pb2+의 결핍조건을 조성하고 금속양이온빈자리들의 형성을 촉진시킨다. 환원성계면활성제의 상용도 용액속에서 Cs+, Pb2+들의 화학포텐샬을 낮추고 빈자리결함형성이 쉽게 일어나도록 한다. 빈자리결함들이 나르개재결합과 화학분해를 일으키는 기본요인이므로 표면빈자리들을 처리하기 위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상안정성뿐 아니라 빛변환효률안정성도 개선하여야 한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협회잡지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C》(2019, 123, 9735-9744)에 《Vacancy-Driven Stabilization of the Cubic Perovskite Polymorph of CsPbI3》(https://doi.org/10.1021/acs.jpcc.9b01552)의 제목으로 발표되였다